티스토리 뷰
건망증 증상,치료법과 치매와 차이점
건망증과 치매 어떤 차이가 있을까?
건망증은 뇌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정도로 기억력이 감퇴하는 망각현상입니다.
일상적으로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고
일시적이며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이며 의학적인 진단은 아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세포에 손상이
가해져 나타나는 질환인데요.
치매일 경우 MRI 촬영등을 통해 뇌 세포가 손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건망증과 치매를 쉽게 구분하는 한 예가 있다.
만약 핸드폰이 어디 있는지 찾고있다면
건망증의 경우
어디 뒀는지 기억하지 못하거나
손에 쥐고있으면 건망증
치매의 경우
손에 들고도 휴대폰 사용법을 모를경우 치매 이다.
건망증, 대체 원인이 뭘까?
스트레스
스트레스가 건망증의 주된 원인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티졸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코티졸은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의 신경세포들을 손상시켜 기억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는 불안을 유발하고 선택적인 집중을 어렵게 해서 기억 형성을 방해한다.
우울증
우울증은 집중력, 기억력 저하 등 인지기능 장애를 동반한다. 치매를 의심해 병원을 찾는 환자 중 우울증 진단을 받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며 우울증을 ‘가성치매’라고 할 정도로 우울증과 기억력 저하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과도한 두뇌 사용
적절한 두뇌사용은 두뇌를 좋게하지만 반대로 두뇌를 과도하게 사용해 뇌가 혹사당할 때에도 기억력 감퇴가 나타난다.
만성 피로
가사노동과 육아로 인한 피로, 근육통, 수면 장애 등은 집중력 감소를 불러와 건망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건망증 진실과 거짓-
건망증은 치료약이 없다?
정답은 0 - 건망증은 치료약이 없다. 하지만 치료방법은 있다. 바로 운동이다. 운동을 하면 혈관 건강을 지켜줄 뿐 아니라 해마의 기능을 강화시켜준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이 외에도 규칙적인 생활습관이나 심리적 안정과 휴식을 통해 건망증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우울증이나 다른 질병으로 인해 건망증이 생겼을 경우에는 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머리를 많이 쓰면 오히려 건망증이 심해진다?
정답은 0 - 근육을 무리할 정도로 많이 사용하면 근육통이 오듯, 뇌도 쉬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하면 뇌 피로 증상이 올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수면 문제와 집중력 저하로 인한 건망증이다. 뇌도 몸의 다른 장기들처럼 규칙적으로 쉬게 해 주어야 한다.
건망증이 심해지면 대부분 치매가 된다?
정답은 X - 건망증은 증상이고, 치매는 질환이다. 치매 질환의 증상 중 건망증이 있을 수는 있다. 그러나 치매는 유전을 포함한 당뇨와 고혈압 등 여러 가지 질환적인 요인이 더 크다. 주관적 기억력 감퇴인 건망증과 치매 간에 상관관계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건망증이 심해졌다고 해서 치매가 된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생활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가피의 효능 알려드려요 (0) | 2016.07.07 |
---|---|
우엉 효능과 먹는방법 (0) | 2016.07.07 |
커피 카페인 부작용과 함유량 (일일 섭취량 바로알기) (0) | 2016.07.05 |
햇빛화상 입은 피부 치료법 -화상치료- (0) | 2016.07.05 |
튼살 없애는 방법 (튼살 예방/원인) (0) | 2016.07.05 |